✔ 4.1 Sales Order의 기능
Sales Order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어지는 기본 Function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Pricing (가격)
- Availability Check (제품 가용여부확인)
- Transferring Requiremendts to materials planning (MRP) (제품 소요량 -> 자재관리부서 요청)
- Delivery Scheduling (출하계획)
- Shipping Point and Route Determination (출하처 및 경로)
- Credit Limit Check (여신)
✔ 4.2 Pricing (가격)
SD 모듈에서 Pricing은 Price(가격), Discount(할인), Surcharge(부가세)를 토대로 자동 수행된다.
시스템은 해당 Business Transaction에 적용되는 현행 Price와 관련된 Discount와 Surcharge를 결정한다.
특정 Business Transaction에 대하여 시스템이 결정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시스템은 Quotation과 Sales Order 뿐만이 아니라 Billing Document에서도 Pricing Function을 수행한다.
4.2.1 Pricing Prodedure
하나의 Sales Document나 Billing Document는 하나의 Pricing Procedure를 가진다.
문서의 Pricing Procedure는 다음의 다섯가지 요소에 의해 정해진다.
- Sales Organization (영업조직)
- Distribution Channel (유통경로)
- Division (제품군)
- Document Pricing Procedure (문서가격결정절차)
- Customer Pricing Procedure (고객가격결정절차)
Pricing Procedure는 적용되는 Price, Surcharge, Discount를 지정하고 이들이 문서에서 어떻게 표현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예를들어, 시스템은 우선 Material Price(제품가격)를 불러오고, 해당 Material 혹은 Customer에 대해 Discount가 적용되는 경우 이를 확인하고 Price에 반영한다.
시스템은 다음 Item에서도 이러한 과정을 되풀이하여 전체 Order Value를 계산해낸다.
4.2.2 Condition Technique
하나의 Pricing procedure는 여러 개의 Condition type으로 구성된다.
각 Condition type은 하나 이상의 access sequence를 가질 수 있으며, access sequence는 미리 선언된condition table의 condition record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기초로 condition type들을 운용하여 해당 제품이나 order의 가격을 결정하는 방식을 condition technique라 한다.
✔ 4.3 Delivery Scheduling과 Availability Check
4.3.1 Delivery Scheduling
Sales Order를 입력할 때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출하계획을 수행해 고객이 요청한 일자에 제품의 납품이 가능한 지를 확인한 다.
시스템은 고객의 Requested delivery date를 기준으로 Material이Available한 date를 결정하며, 이때 시스템에 의해 Ship-to party, Route, Shipping point, material 등이 고려된다.
Material이 available한 시점으로부터 Picking, Packing 작업이 시작될 수 있으며 Loading작업을 마친 후 Transit 할 수 있다.
4.3.2 Avaliability Check
시스템은 고객의 Requested delivery date를 사용하여 요청한 Material이 시스템에서 가용 한 지를 확인한다.
Availability check결과 material available date에 available한 Material 수량이 충분치 않은 경우,
원하는 수량이 실제로 가용 하게 되는 일자와 이 일자 를 고려하여 해당 Material을 고객에게 납품 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일자를 시스템에서 계산한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여러 가지 delivery proposal을 제시한다.
시스템이 Availability check를 수행할 때 Delivery plant의 current stock 뿐만 아니라
Planned inward movement와 outward movement를 고려한다.
Inward movement(내부이동계획)는 plant에 입고되는 Transaction들을 일컫는데 그 예를 들자면 Purchase order, Purchase requisition, Planned order 등이 있다.
Outward movement(외부이동계획)는 Plant로부터 출고되는 Transaction들로서 Sales order, Delivery, reservation 등이 있다.
시스템을 구축할 때 어떠한 요소들을 Inward movement와 Outward movement로 고려할 지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Safety stock, Stock in transfer, Replenishment lead time등을 Availability check시에 고려 할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4.3.3 Transfer of Requirement (MRP)
Availability check를 통해 Requirement를 자재관리 부서로 전달할 수 있다.
시스템의 통합적 특성에 의해 SD, MM, PP모듈간에 는 필요한 데이터가 자동으로 교환된다.
MM이나 PP모듈에서는 전달 받은 requirement 정보를 가지고 해당 requirement를 충족 시키기 위해 생산이 필요한지 외부구매가 필요한지를 결정하여 해당 Procedure를 수행시킨다.
4.3.4 Updating Backorder
Availability check 결과 confirm 받지 못한 sales order item은
추후 updating backorder를 수행시켜 confirm 받을 수 있다.
Backorder list를 수행시켜 볼 수 있으며, 각 Backorder에 대해 Availability check를 다시 수행해 현재의 상태에서 제품의 가용성을 점검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다.
Back order가 수행될 때 시스템은 각 order의 delivery priority를 check한다.
그 외에도 특정 sales order의 특정 제품 수량을 다른 sales order로 수동으로 옮겨 confirm시킬 수 있다.
✔ 4.4 Shipping Point와 Route의 결정
4.4.1 Shipping Point의 결정
Sales order 입력 시 shipping point는 다음의 세가지 정보를 기준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결정된다.
- Customer master의 Shipping condition ( BP의 납품조건 )
- Material master의 Loading group ( 제품의 적재그룹 )
- Order item의 Plant ( 주문 품목의 플랜트 )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하나의default shipping point와 여러 개의 possible shipping point를 결정할 수 있다.
4.4.2 Route의 결정
Sales order 입력 시 route는 다음의 네 가지 정보를 기준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결정된다.
- 출발하는 plant의 Shipping point(배송지점)
- Customer master의 Shipping condition(납품조건)
- Material master의 Transportation group(운송그룹)
- Ship-to party의 Transportation zone(운송구역)
✔ 4.5 Credit Check (금액 및 여신점검)
4.5.1 Credit Management overview
시스템에서는 Sales process를 처리할 때 Customer의 Credit limit(여신한도)을 Check 한다.
고객별 신용한도를 정함으로써 판매와 관련된 부실 채권의 발생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다.
위 그림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여신관리부서에서는 특정 고객부류에 대한 여신금액을 관리한다. 이때 sales order가 입력되면 시스템에 의해 credit limit check가 수행되고 그 결과 여신이 부족하면 sales order는 완전한 상태로 저장되지 못하고 shipping process는 수행되지 않는다. Credit block에 대한 정보는 여신담당자에게 전송되고 여신 담당자는 미수금을 회수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해당 고객의여신을 확보한다.
고객의 여신이 충분해진 상태에서 다시 한번 가용성점검을 수행하면 sales order는 credit block이 해제되고 shipping process의 수행이 가능해 진다.
Shipping과 Billing process가 수행된 후 FI로 외상매출금이 기표된다. 추후에 고객이 Payment를 수행하면 해당 고객에 대한 여신 금액은 지불한 금액만큼 다시 증가하게 된다.
납품문서 생성 시 여신 한도초과 메세지가 나온다면, VKM1 프로그램에서 재처리가 가능하다.
'SAP > S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SD] 빌링 - 6장. 빌링문서 (2) | 2024.09.24 |
---|---|
[SAP/SD] 납품 - 5장. 납품문서 (1) | 2024.09.24 |
[SAP/SD] 판매 - 3장. 영업문서 (7) | 2024.09.10 |
[SAP/SD] 조직 - 2장. 마스터데이터 (2) | 2024.09.06 |
[SAP/SD] 조직 - 1장. 영업조직구조 (2) |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