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AP에서의 Date란?
SAP는 전표에 증빙일(Doc Date), 전기일(Posting Date), 입력일(Entry Date) 등 다양한 일자에 대한 정의가 되어있다.
각 일자별로 SAP 내에서 바라보는 의미가 다르며, 이를 무시하고 처리했다가는 나중에 재무/경리(FI/TR) 쪽에서 큰 파장이 올 수 있다.
전표랑 SD랑 무슨 상관이야?
모든 재고의 실제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혹은 채권, 채무가 발생하는 경우에 FI 전표가 생성 됩니다.
그렇다면, 재고의 변동이 생기는 경우는 두가지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1. 주문이 생성되어 제품이 나가야하는 경우
2. 플랜트 내 창고에서 이동이 이루어지는경우
2번의 경우 같은 창고내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WM(물류)전표는 발생하지만 FI(회계)전표는 생성되지 않습니다.
중요한 점은 1번입니다.
주문이 생성되고 제품이 출고되었을 때, SD에서는 Billing을 하여 대금청구문서를 생성하게 됩니다.
이때, FI 회계문서도 같이 생성되게 되며 모든 문서의 근거는 판매문서를 기준으로 생성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SAP에서 다루는 일자의 기준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문서 별 역할에 대한 설명은 나중에 따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Date별 설명
증빙일
(Document Date)
증빙일은 문서가 작성된 날짜를 뜻합니다.
이는 거래가 시작된 날짜를 뜻하며, 주문이나 판매가 발생한 날짜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세금계산서 발행일이 증빙일이라고도 가능합니다.
전기일
(Posting Date)
전기일은 해당 전표가 처리된 날짜, 회계적으로 기록된 날짜를 뜻합니다.
즉, 이 날짜가 시스템에 반영될 날짜라고 보면 됩니다.
모든 문서를 볼 때 전기일을 가장 중요시 봅니다.
입력일
(Entry Date)
입력일은 말그대로 문서를 SAP에 입력한 날짜 입니다.
사용자가 언제 문서를 입력하였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예시
상단의 이미지는 2024.10.07에 입력한 판매문서의 정보입니다.
증빙일 | 2024.10.07 |
납품요청일(전기일) | 2024.09.30 |
생성일(입력일) | 2024.10.07 |
상단의 이미지는 2024.10.07에 입력한 회계문서의 정보입니다.
증빙일 | 2024.09.30 |
전기일 | 2024.09.30 |
생성일(입력일) | 2024.10.07 |
두개를 비교하였을 때, 영업문서에서는 증빙일을 입력일과 동일하게 바라보고 있지만
실제 비용을 다루는 회계문서에서는 전기일과 동일하게 되어 있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시를 보았을때 증빙일이아닌 전기일을 가장 우선시 해야한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SAP > S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SD] 판매문서 주문금액 일괄 변경 (VA05) (0) | 2025.02.04 |
---|---|
[SD/IMG] SAP 기업구조 지정 세팅 (0) | 2024.10.07 |
[SD/IMG] SAP 기업구조 정의 세팅 (1) | 2024.10.04 |
[SAP/SD] BP 변경이력 조회 (0) | 2024.10.04 |
[SD/IMG] IMG 세팅내역 검색방법 (0) | 2024.09.25 |